확증 편향이란
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믿음을
지지하는 정보에만 주목하고,
반대되는 정보는
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는
인지적인 편향을 말합니다.
쉽게 말해, 자기가 옳다고 믿는 것만
믿으려는 심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.
●왜 확증 편향이 생길까요?
<정신적 에너지 절약>
모든 정보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은
많은 정신적인 에너지를 소모합니다.
확증 편향은 이러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
일종의 '심리적 방어 기제'라고 볼 수 있습니다.
<자존감 유지>
자신이 믿는 것이 옳다는 것을
확인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강합니다.
반대되는 정보를 받아들이면
자존감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.
<소속감 유지>
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공동체의
가치관과 일치하는 정보를 선호합니다.
이는 소속감을 유지하고
사회적 관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●확증 편향의 문제점
<객관적인 판단 방해>
확증 편향은 객관적인 사실보다는
자신의 믿음에 더 의존하게 만들어
올바른 판단을 방해합니다.
<갈등 유발>
다른 사람들과의 의견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,
자신의 주장만을 고집하게 되어
갈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<편견 심화>
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편견을 강화하고,
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을 막습니다.
●확증 편향 극복하기
<다양한 관점 존중>
자신의 생각과 다른 의견에도 귀 기울이고,
다양한 관점을 존중하는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.
<반대되는 증거 찾기>
자신이 믿는 것에 대한 반대되는 증거를
의도적으로 찾아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.
<전문가 의견 참고>
해당 분야의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고,
자신의 생각을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.
<집단 사고 경계>
자신이 속한 집단의 의견에만 의존하지 않고,
독립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.
확증 편향은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
인지적인 편향입니다.
하지만 이를 인지하고 극복하려는 노력을 통해
더욱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.
●관련 심리학 용어
인지 부조화: 자신이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이상의 생각이나 믿음이 서로 모순될 때 느끼는 불편함
선택적 노출: 자신이 믿는 것과 일치하는 정보에만 노출되는 현상
왜 나쁜 소식에 더 끌릴까요? 심리적 분석
나쁜 소식에 더 끌리는 현상은 우리의 심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.좋은 소식은 안정감과 긍정적인 감정을 주지만 나쁜 소식은 호기심과 긴장감 그리고 문제 해결의 욕구를 자극하기
investigation-report.tistory.com
'과학 알아보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향실(에코챔버) 효과 (echo chamber effect) 원인과 해결 방안 (0) | 2024.11.27 |
---|---|
깨끗하고 좋은 공기라면, 숨만 쉬어도 건강할 수 있다 (1) | 2024.11.26 |
자극 추구 - 새로운 경험을 향한 열망 (4) | 2024.11.23 |
네가티브 편향 - 왜 우리는 부정적인 것에 더 집착할까요? (2) | 2024.11.22 |
왜 나쁜 소식에 더 끌릴까요? 심리적 분석 (1) | 2024.1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