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학 알아보자

가축분뇨, 고체연료 활용 방안

알.아.보.자 2024. 11. 12. 10:21
728x90
반응형

국내에서는 매년 5천만 톤 이상의 가축 분뇨가 발생하고 있지만, 그동안 퇴비화 정책에 치중되어 환경 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. 가축 분뇨를 고체 연료로 활용하면 화석 연료 사용을 줄여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할 수 있으며, 수질 오염과 녹조 등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. 또한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도 기여할 수 있어 가축 분뇨 고체연료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.

축산 농가사육장

반응형

고체연료 생산 기술

가축 분뇨를 고체 연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분을 성형하고 펠릿 형태로 가공하는 기술이 필수적입니다.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우분을 이용한 고체 연료 성형 및 펠릿 소형화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. 이 기술을 통해 펠릿 직경을 5.25mm로 줄여 착화 시간을 단축시켜 연소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. 또한 저장 기간별 고체 연료 품질 조사를 통해 균일한 품질 관리를 위한 기술도 개발되었습니다. 이와 함께 대형 제철소 등 대량 소비처와 연계하여 우분 고체 연료 실용화 기술도 확보하였습니다. 이러한 기술 개발을 통해 가축 분뇨 고체 연료화가 본격화되면 화석 연료 사용 감축과 농경지 양분 관리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

발전소펠릿형태의 고체 연료

728x90

고체연료 활용의 장점

가축 분뇨를 고체 연료로 활용하면 환경과 경제 모두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. 우선 환경적으로는 온실가스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 정부는 가축 분뇨를 발전소 연료로 사용하면 매년 자동차 110만대 분의 온실가스 160만 톤을 감축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. 또한 수질 오염과 녹조 문제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. 가축 분뇨의 하천 유입을 막아 수질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경제적으로도 가축 분뇨 고체 연료화는 큰 이점이 있습니다. 국내 우분 생산량의 20%를 고체 연료화하면 농경지 양분 관리에 도움이 되어 농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 질소 23,006톤/년, 인 4,823톤/년의 양분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. 또한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어 에너지 안보에 도움이 됩니다. 아울러 가축 분뇨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축산업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것입니다.

 

계획

가축 분뇨를 고체 연료로 활용하면 온실가스 감축, 수질 개선, 에너지 수입 의존도 감소 등 환경과 에너지 측면에서 큰 이점이 있습니다. 정부는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2030년까지 일일 4천 톤 가축 분뇨 고체 연료 사용을 목표로 생산시설 확충과 품질 개선, 수요 확대를 추진할 계획입니다. 이를 통해 연간 160만 톤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앞으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함께 농축산업계, 발전사 등 관련 산업계의 협력이 필요할 것입니다.

728x90
반응형